본문 바로가기
유머 + 읽을거리

사회초년생은 이것부터! 통장 4개로 관리하고 돈 모으는 방법

by 뱀선생 2025. 4. 3.
반응형

사회초년생은 이것부터! 통장 4개로 관리하고 돈 모으는 방법

 

 

 

아직도 모르는 사회초년생을 위해서!

급여통장, 토자통장, 소비통장, 예비통장 4개로 관리하고 돈 모으는 가장 기본적인 재테크 방법입니다!

이렇게 통장을 4개로 분리하는 이유는? 바로 효육적인 자금분배와 돈이 새어나가는 일이 없게끔 관리하기 위해서인데요!

 

 

 

 

 

 

 

 

유머 - 돈을 모으기 시작하면서 통장에 찍힌 보유자산별 심리상태

https://snaketeacher.tistory.com/9587

 

유머 - 돈을 모으기 시작하면서 통장에 찍힌 보유자산별 심리상태

유머 - 돈을 모으기 시작하면서 통장에 찍힌 보유자산별 심리상태 유머 - 캐릭터 재산 순으로 드라마 시청률 터지는 배우 김수현https://snaketeacher.tistory.com/9030 유머 - 캐릭터 재산 순으로

snaketeacher.tistory.com

쑥쑥 경제 교실, 저축을 하라고 했더니 저축하고 잇는 척을 하고 있는 거예요!

https://snaketeacher.tistory.com/9850

 

쑥쑥 경제 교실, 저축을 하라고 했더니 저축하고 있는 척을 하고 있는 거예요!

쑥쑥 경제 교실, 저축을 하라고 했더니 저축하고 있는 척을 하고 있는 거예요!   양세찬 쑥쑥유튜브에 볼만한 경제내용을 다룬 콘텐츠가 올라와서 올려봅니다. ㅋㅋ2030세대의 올바른

snaketeacher.tistory.com

 

 

 

 

1. 급여통장 : 잔액은 항상 0으로 유지

 

 

 

 

급여가 들어오면 1차적으로 월세나 통신비 같은 고정 지출 을 자동납부하도록 해둡니다. 

(자동납부를 하지않으면 자 칫 잊어버려서 밀리게 되고, 이는 곧 목돈이 되어 부담으로 다가옵니다). 

이 통장의 경우, 수시로 입출금이 가능한 형 태를 골라야겠죠.
중요한건 급여통장은 '절대' 잔액이 남아선 안 됩니다. 월 급은 들어오기가 무섭게 "퍼가요~♡"의 성지가 되도록. 물 론 퍼가는 주체가 카드 할부금이 되어선 안 되겠죠. 급여통 장이 '0'이 아니라는 것은 그만큼 노는 돈이 있다는 뜻입니 다. 어영부영 하다가 쓸데없는 곳으로 새기 십상이지요.

 

 

 

 

 

 

2. 투자통장 : 자동이체 날짜는 모든 통장을 동일하게 설정

 

 

적금, 펀드, 주택청약, 보험, 연금 등을 관리하는 통장입니다. 저축도 큰 의미의 투자로 본다면 여기에 포함되겠죠?

급여가 들어오면 고정지출과 함께 투자통장을 채울 수 있도록 합니다.
강조하고 싶은 것은 자동이체 및 투자상품 이체 날짜를 모 두 동일하게 하는 것! 생각보다 많은 초년생들이 각종 자동 이체 날짜를 우후죽순으로 설정하곤 하는데요. 이체 날짜 가 동일해야 자금의 흐름을 한 번에 파악할 수 있습니다. 그리고 적어도 급여의 절반은 투자통장으로 흘러가도록 세팅해 주세요.

 

 

 

올 한해 저축, 소비는 어떻게 할 것인가! 사회초년생 위한 1억원 모으기

https://snaketeacher.tistory.com/9703

 

올 한해 저축, 소비는 어떻게 할 것인가! 사회초년생 위한 1억원 모으기

올 한해 저축, 소비는 어떻게 할 것인가! 사회초년생 위한 1억원 모으기 재테크 팁 - 주식 적립식 장기 투자 정보 장점 단점 등등https://snaketeacher.tistory.com/7516 재테크 팁 - 주식 적립식 장

snaketeacher.tistory.com

 

 

 

 

 

3. 소비통장 : 당신의 자제력을 믿지 마라

 

 

 

애초에 쓸 수 있는 돈이 적다면, 자연스레 소비도 줄게 됩니다. 소비통장에 한달에 쓸 돈만 딱 넣어두면 되겠죠?

소비통장은 체크카드와 연결시키도록 합니다.
한 달에 5만 원만 덜 쓰기!라고 하기 보단, 소비통장에 5만 원을 덜 이체시키는 게 훨씬 지키기 쉬울 겁니다. 주의할 점은, 쓸 돈이 부족하다고 해서 추가로 잔고를 늘리기 없 기! 소비통장에 넣을 돈은 급여의 20~30%를 넘지 않도록 해주세요.

 

 

 

 

 

 

4. 예비통장 : 소득의 10%, 평소 지출의 3배를 유지

 

 

급여통장에서 투자통장, 소비통장으로 돈을 돌린 후 남은 금액은 예비통장에 넣어둡니다.

만약 이 예비통장이 없다 면, 친구 결혼식이나 예기치 못한 사고가 일어났을 때 갑자 기 쓸 돈을 구하기 힘들겠죠. 적금을 깨야하는 경우도 생깁 니다. 단순히 이자가 아까운 걸 떠나서, 자신의 재무 계획 이 와르르 무너져버리겠죠.
예비자금은 급여의 10% 정도로 산정하는 것이 좋으며, 평 소 한 달 지출의 3배 정도의 금액을 유지하는 것이 좋습니 다. 수시 입출금이 가능하며 상대적으로 단기 고금리에 속 하는 CMA를 초년생들에게 추천하고 싶네요.

 

 

 

 

 

출처 : https://www.finda.co.kr/post/uncategorized/4118

반응형

댓글